
- 1971년
-
- 묘전스님께서 종정 고암스님으로부터 봉녕사 주지를 임명받은 후 별당과 요사채를 신축하고 봉녕선원 개원
- 1974년
-
- 3월 5일 묘엄스님께서 봉녕사 주지로 취임하신 후 대웅전을 신축하여 도량을 확장했고 봉녕승가학원을 설립하여 강주로 역임
- 1983년
-
- 공부하러 모여드는 많은 학인스님들을 위해 학사로 육화당3층 건물을 신축
- 1984년
-
- 교육원 정책으로 봉녕사승가학원이 봉녕사승가대학으로 개칭
- 1992년
-
- 5월 29일 현 한국의 사찰 중에 최대규모 도서관인 소요삼장 완공, 개관식을 봉행하며 5명 제자에게 전강식을 함.
- 1994년
-
- 약사전의 신중탱화와 현왕탱화,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지정
- 용화각의 석존 삼존불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지정
- 일주문 완공
- 1996년
-
- 향하당 완공
- 1997년
-
- 대적광전, 약사전, 용화각 착공
- 1998년
-
- 약사전, 용화각 완공 청운당 착공 및 완공
- 1999년
-
- 한국불교 비구니계 최초의 비구니 율원, 금강율학승가대학(연구과정, 전문과정) 개원
- 비구니 수행도량으로서의 대가람을 조성
- 2001년
-
- 108평의 대적광전을 신축하신 후 삼존불을 봉안하여 점안식 봉행
- 2002년
-
- 청담스님 탄신 100주년 기념 학술세미나 개최
- 2005년
-
- 1층에는 향적실, 2층은 학인스님 큰방인 육화당을 신축
- 2007년
-
- 봉녕사승가대학 총동문 ‘선우회’에서 스승님께 봉정하는 세주묘엄主講50년기념 논총 간행
- 2009년
-
- 제1차 대한민국 사찰음식대향연 개최했으며, 옛 육화당 자리에 3층 규모의 금강계단을 갖춘 우화궁을 완공
- 2010년
-
- 제18회 단일계단 식차마나니계 수계산림을 시작
- 2011년
-
- 세주 묘엄 명사께서 법납 67년, 세수 80세로 원적에 드시면서 영결식과 다비식을 봉녕사에서 봉행
- 2012년
-
- 7월 여성 청년불자를 대상으로 단기출가 템플스테이 개최
- 9월 묘엄불교문화재단 설립
- 12월 ‘제1주기 세주묘엄스님 다례’봉행, 세주묘엄박물관 개관
- 2013년
-
- 5월 사단법인 세주불교문화원 설립
- 9월 ‘봉녕사 역사와 문화’주제로 학술심포지엄 개최
- 10월 사찰음식 교육관 ‘금비라’ 개원
- 11월 교육원 인정 연수교육 ‘계율과 수행의 관계’ 개최
- 12월 묘엄불교문화재단 제1회 불교문화상 시상 및 장학금 수여
- 2014년
-
- 4월 종단 표준 한글의례(오분향 헌다게, 칠정례, 천수경) 불교의식 대중화
- 2022년
-
- 4월 제30회 단일계단 식차마나니 수계산림 봉행
- 6월 제10차 ‘계율과 불교윤리’을 주제로 교육원 인정 연수교육 실시
- 10월 제13차 사찰음식대향연 행사
- 11월 ‘제11주기 세주당 묘엄 명사 열반 추모 다례재’ 봉행
묘엄불교문화재단 제10회 불교문화상 시상 및 장학금 수여